2025년 '기준 중위소득' 역대 최대 인상, 우리 가족 복지 혜택은?

2025. 8. 11. 13:23서민 복지 및 생활 지원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이 역대 최대 폭으로 오르면서, 정부의 다양한 복지 지원 문턱이 낮아지고 지급액이 늘어납니다. 기초생활수급자 생계급여 인상부터 각종 바우처 수혜 확대까지, 새롭게 달라지는 복지 제도를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지금 바로 확인하세요!

 

2025년 기준 중위소득 인상 복지혜택 총정리
2025년 기준 중위소득 인상 복지혜택 총정리

 

2025년 '기준 중위소득' 인상, 우리 가족 복지 혜택은 어떻게 달라질까?

2025년, 정부가 역대 최대 폭으로 기준 중위소득을 인상했습니다. 이는 단순히 숫자가 오르는 것을 넘어, 저소득층과 취약계층의 삶에 직접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매우 중요한 소식인데요. 오늘 글에서는 기준 중위소득이 무엇인지, 그리고 인상으로 인해 우리 가족이 어떤 복지 혜택들을 새롭게 받거나 더 많이 받을 수 있는지 알기 쉽게 알려드릴게요.

 


 

기준 중위소득, 왜 중요한가요?

기준 중위소득은 국내 전체 가구를 소득 순서대로 줄 세웠을 때, 정확히 중간에 있는 가구의 소득을 의미합니다. 정부는 이 기준 중위소득을 매년 발표하고, 이를 토대로 기초생활보장제도를 비롯한 100여 개가 넘는 복지 정책의 수급자 선정 기준과 지원 금액을 정합니다.

한마디로, 기준 중위소득이 높아지면 더 많은 사람이 복지 혜택을 받게 되거나, 기존 수급자들이 더 많은 지원금을 받게 되는 거죠.

 


 

2025년 기준 중위소득, 얼마나 올랐나요?

이번 인상으로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은 작년 대비 6% 내외로 크게 올랐습니다. 특히 1인 가구는 작년보다 약 13만 8천 원가량 증가했습니다.

가구원 수 2024년 기준 중위소득 2025년 기준 중위소득 인상률
1인 가구 2,228,496원 2,367,078원 6.22%
2인 가구 3,697,639원 3,923,940원 6.12%
3인 가구 4,714,657원 5,005,924원 6.18%
4인 가구 5,729,913원 6,076,827원 6.06%

 


 

2025년, 더 따뜻해지는 주요 복지 혜택

이번 기준 중위소득 인상으로 확대되는 주요 복지 혜택들을 자세히 살펴볼게요.

 

1. 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 지원액 인상 및 수혜 대상 확대

가장 큰 변화는 바로 기초생활보장제도의 생계급여 지원 금액이 늘어난다는 점입니다.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의 35%까지 생계급여 선정 기준이 상향되면서, 기존 수급자들의 생계급여액이 인상되는 것은 물론, 소득이 약간 높아 기존에는 받지 못했던 가구도 새롭게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가구원 수 2024년 생계급여 (최대) 2025년 생계급여 (최대) 인상 금액
1인 가구 약 65만 원 약 71만 원 약 6만 원↑
2인 가구 약 108만 원 약 118만 원 약 10만 원↑
4인 가구 약 173만 원 약 188만 원 약 15만 원↑

❗ 주의: 위의 금액은 가구 소득이 '0원'인 경우 받는 최대 금액이며, 실제 수령액은 가구의 소득인정액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2. 기초연금 및 장애인연금 지급액 인상

기초연금은 소득 하위 70%에 속하는 어르신들에게 지급되는 연금인데요. 2025년 1월부터 이미 인상된 금액으로 지급되고 있습니다. 기준 중위소득 인상에 따라 소득인정액 기준이 완화되어 수급 대상이 확대되었을 뿐만 아니라, 연금액 자체도 물가 상승률을 반영하여 인상되었습니다.

구분 2024년 (최대) 2025년 (최대) 인상액
기초연금 (단독가구) 334,810원 342,510원 7,700원↑
기초연금 (부부가구) 535,680원 548,000원 12,320원↑
장애인연금 (기초급여) 334,810원 342,510원 7,700원↑

 

3. 다양한 바우처 및 서비스 수혜 대상 확대

기준 중위소득 인상은 단순히 현금 급여에만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닙니다. 다음의 다양한 복지 서비스도 그 기준이 함께 오르면서 더 많은 사람이 혜택을 받게 됩니다.

  • 문화누리카드: 6세 이상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에게 문화, 여행, 체육 활동을 지원하는 카드로, 문화생활 격차 해소를 돕습니다.
  • 에너지바우처: 저소득 가구의 겨울철 난방비와 여름철 냉방비를 지원하는 바우처로, 에너지 비용 부담을 덜어줍니다.
  • 아이돌봄 서비스: 맞벌이 가구, 한부모 가정 등에게 만 12세 이하 아동의 돌봄을 지원하여 양육 부담을 경감하는 서비스입니다.
  • 국가장학금: 소득 수준에 따라 대학생의 등록금을 지원하여 교육 기회를 보장하고 학비 부담을 낮춰주는 제도입니다.

이처럼 기준 중위소득 인상으로 기존에는 지원을 받지 못했던 가구도 새롭게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문이 넓어졌습니다.

 


 

우리 가족은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정확한 수혜 대상 여부와 지원 금액은 가구원 수, 소득 및 재산 수준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직접 확인해보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가장 빠르고 정확한 방법은 복지로(www.bokjiro.go.kr) 또는 거주지의 행정복지센터를 방문해 상담받는 것입니다. 복지로 홈페이지에서는 '복지서비스 모의계산' 메뉴를 통해 본인의 예상 복지 혜택을 미리 확인해볼 수도 있습니다.

2025년, 더 든든해진 복지 혜택을 놓치지 않고 꼭 신청하셔서 더 안정적이고 행복한 생활을 누리시길 바랍니다!

 

 

복지로 홈페이지 바로가기

대한민국 대표 복지포털 '복지로'

www.bokjiro.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