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부 지원 혜택/출산 및 양육 지원

2025년 출산장려금 경기도 중심 지자체별 총정리!

by ShineReward 2025. 7. 29.

2025년 출산장려금과 출산축하금, 우리 동네는 얼마일까요? 지자체별 금액과 지급 기준을 총정리해드립니다.

 

2025년에도 다양한 지자체에서 출산 가정에 힘이 되는 출산장려금과 출산축하금을 지급하고 있어요. 지자체마다 지급 기준과 금액,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출산은 가정에 큰 축복이자 기쁨이지만, 동시에 경제적인 부담도 함께 찾아오지요. 특히 아이가 늘어날수록 양육비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곤 해요. 이런 현실을 반영해 많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출산을 장려하고 부모님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출산장려금'이나 '출산축하금'을 지급하고 있어요. 하지만 이 지원금은 전국 공통이 아니라, 지자체마다 조건과 금액, 지급 방식이 천차만별이에요. 그렇기 때문에 출산을 앞둔 분들이나 다자녀 가정을 계획 중인 분들이라면,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에서는 어떤 혜택이 있는지 미리 꼼꼼히 알아보는 것이 중요해요. 이 글에서는 경기도를 중심으로 2025년 기준 각 시군의 출산장려금·출산축하금 지급 현황을 알기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또한, 정부에서 제공하는 전국 공통 출산지원제도인 ‘첫만남 이용권’도 꼭 챙겨야 할 부분이에요. 더불어 자주 묻는 질문과 유의사항까지 함께 안내드릴 테니, 이 글 하나로 출산지원금 정보를 한눈에 파악하실 수 있을 거예요.

 

2025 출산장려금 지차제별 총정리
2025 출산장려금 지차제별 총정리

 


 

출산장려금이란?

출산장려금은 아이 출산을 장려하고 육아 부담을 덜기 위해 지자체가 지급하는 현금 또는 지원금이에요. 출산축하금, 육아지원금 등으로 불리며, 지자체에 따라 첫째부터 지급되기도 하고 둘째 이상부터 지원되기도 해요. 현금 외에도 지역화폐, 바우처, 물품 지원 등으로 지급되는 경우도 있어요.

 


 

2025년 출산장려금·출산축하금, 이렇게 확인하세요!

출산장려금은 전국 모든 지자체에서 시행하는 건 아니며, 각 시·군·구의 정책에 따라 금액이나 지급 조건이 천차만별이에요. 특히 예산 여건이나 다자녀 정책 우선도에 따라 매년 조금씩 변경되기도 하고요. 가장 정확한 정보는 해당 지자체의 홈페이지, 복지포털 또는 읍면동 주민센터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어요.

 


 

경기도 주요 시군별 출산장려금·출산축하금

경기도는 전국에서도 출산장려금이 비교적 활발한 지역이에요. 각 시군마다 지원 방식이 조금씩 다르지만, 첫째부터 주는 곳, 셋째부터 많이 주는 곳, 다섯째 이상 고액 지원하는 곳 등 다양해요.

 

📌 아래 표는 2025년 7월 기준 경기도청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각 지자체별 예산 및 정책 변경에 따라 내용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반드시 최신 정보를 해당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재확인하시길 권장드립니다.

 

시군명
(담당부서)
구분 지원금액(단위 : 만원) 지원기간 지급기준
첫째아 둘째아 셋째아 넷째아 다섯째아이상
수원시
여성정책과
228-3220
출산지원금   50 200 500 1,000
(분할지급)
1회/분할 출산일 기준 180일 이전부터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하는 부모 또는 보호자(거주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 6개월 경과 시 지원)
세쌍둥이 이상 출산가정
(500만원 추가지급)
고양시
여성가족과
8075-3329
출산지원금 100 200 300 500
(분할지급)
1000
(분할지급)
1회/분할 출생 자녀의 출생신고일 기준, 1년 이전부터 고양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계속 거주 중이며, 동일 세대에 출생 자녀의 출생신고를 하여 주민등록을 같이 한 친권자 또는 후견인(출생신고일 기준 고양시에 거주한 기간이 1년 미만일 경우 1년 이상 거주한 때에 신청 가능)
용인시
여성가족과
6193-2608

장애인복지과
6193-3151
출산지원금 30 50 100 200 300 1회 출생일 기준 180일 이상 계속하여 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하고 있는 부 또는 모 (지원대상자와 출생아가 같은 세대로 주민등록 되어있을 것) 다만, 거주기간이 180일 미만인 경우 180일 경과 시 지원
장애인가정 출산지원 100
(심한 장애인)
70
(심하지 않은 장애인)
100
(심한 장애인)
70
(심하지 않은 장애인)
100
(심한 장애인)
70
(심하지 않은 장애인)
100
(심한 장애인)
70
(심하지 않은 장애인)
100
(심한 장애인)
70
(심하지 않은 장애인)
1회 신생아의 출생일을 기준으로 180일 전부터 계속하여 용인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하는 신생아의 등록장애인 부 또는 모. 다만, 거주기간이 180일 미만인 경우 180일 경과 시 지원
※ 2022. 1. 1.이후 신생아를 출산한 장애인가정부터 적용
성남시
여성가족과
729-2915
출산장려금 30 50 100 200 300 1회 출산일 기준 부 또는 모가 180일 이전부터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180일 미만 거주자는 180일 경과 거주시 지급)
다자녀아동
양육수당
    10 10 10 매월지급
(0~7세)
지자체 출산지원시책 관련지침(보건복지부)
부천시
여성다문화과
(032)625-2924
출산지원금       700
(최초 200,
1년 뒤 10회분할)
700
(최초 200,
1년 뒤 10회 분할)
분할 출산일 기준 부 또는 모가 1년 이전부터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거주기간이 1년 미만인 경우 전입일로부터 1년 경과 후 신청 가능)
화성시
아동친화과
5189-1337
출산지원금 100 200 200 300
(2회분할)
300
(2회분할)
1회/분할 부 또는 모가 180일전부터 화성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실제 거주 (180일 미만 거주자인 경우에는 출생일로부터 180일이 경과한 날까지 거주시 지원)
안산시
통합돌봄과
481-2604
481-2606
출생축하금 100 300 500 500 500 1회 축하금 지원대상자는 출생(입양)신고를 통해 안산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아래의 요건 중 하나에 해당해야 함
  1. 부 또는 모, 보호자가 지원대상자의 출생(입양)일 현재 연속하여 1년 이상 안산에 주민등록 되어 있을 것
  2. 주민등록 기간이 1년 미만이라면, 출생(입양)일 이후 연속하여 1년 이상 안산에 주민등록 되어 있을 것
영유아
양육비
  3 3 3 3 매월 지급
만0∼5세
신청일 현재 부 또는 모와 함께 관내에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하고 있는 다자녀 가정의 둘째 이상 자녀에게 지급
남양주시
건강증진과
590-4476
장애인복지과
590-2667
출산축하금(장려금) 100 100 100 100 100 1회 부, 모 또는 사실상 양육자가 영아의 출생신고일을 기준으로 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신청일 현재 시에 주민등록 및 실제 거주
(거주기간 제한 없음)
장애인가정
출산지원금
중증장애인 150
경증장애인 100
(출산순위 구분 없음 / 장애정도에 따른 차등 지급)
1회 출생일 기준 신생아의 부 또는 모가 남양주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실제 거주 중인 장애인 가정
안양시
만안보건소
8045-3104
동안보건소
8045-4969
·
장애인복지과
8045-5580
출산지원금 200 (2회분할) 400 (2회분할) 1,000 (4회분할) 1,000 (4회분할) 1,000 (4회분할) 매년 분할 출산(입양을 포함)일 기준으로 12개월 전부터 신청일까지 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계속 거주한 사람으로서 출생아와 주민등록상 동일 세대로 되어 있는 부 또는 모
(단, 출생아의 부 또는 모가 출생일 이전부터 안양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계속 거주한 기간이 12개월 미만일 경우 전입일로부터 12개월이 경과 후 지원 대상으로 함)
※ 2023. 5. 1.이후 출생아부터 적용
장애인가정
출산지원금
심한장애 100 / 심하지 않은 장애 70 1회 신생아의 부 또는 모가 등록장애인으로 구성된 세대로 신생아 출산일 기준으로 관내 주민등록을 두고 6개월 이상 계속 거주한 가정. 거주기간 6개월 미만인 경우에는 아이의 출생일로부터 6개월 이상 거주한 때에 지원대상임
평택시
건강증진과
8024-4357

아동복지과
8024-2933
출산축하금 50 120 300 500 500 1회 신생아 출산일 및 입양아 입양일 기준 1년 전부터 신청일 현재까지 부모 중 1명이 시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가정(출생일 기준 1년 미만 거주자는 전입일 기준 1년 6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6개월 이내 신청)
장애인가정 출산지원금 심한장애 150 / 심하지 않은 장애 100 1회 신생아 출산일 및 입양아 입양일 기준 1년 전부터 신청일 현재까지 부모 중 1명이 시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가정(출생일 기준 1년 미만 거주자는 전입일 기준 1년 6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6개월 이내 신청) 부 또는 모의 장애에 따라 출산축하금과 별도로 추가 지급
다자녀 양육지원금     10 매월 지급
(출생월~36개월)
36개월 이하의 셋째아 자녀가 있는 평택시 거주 가정(36개월 이하 자녀가 다수라도 가구당 월 지원 단가동일)
시흥시
보건정책과
310-5850
출생축하금   50 100 800
(4회분할)
800
(4회분할)
1회/분할 출생신고일(입양일) 기준 부 또는 모가 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180일 이전부터 거주(출생신고일 등을 기준으로 180일 미만 거주자는 180일이 경과할 때까지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한 경우)
파주시
여성가족과
940-4422
출생축하금 100
(최초 10,
1년 뒤 90)
200
(최초 30,
1년 뒤 170)
300
(최초 100,
1년 뒤 200)
300
(최초 100,
1년 뒤 200)
300
(최초 100,
1년 뒤 200)
분할 출생신고일 기준으로 출산자녀와 함께 실제 거주하고,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자녀의 부 또는 모(2차 지급일까지 조건 유지)
의정부시
여성보육과
828-4245
출산장려금 30 100 100 100 100 1회 출생신고일 현재 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하는 부 또는 모로, 대상자녀가 주민등록상 동일 세대원인 경우 (첫째아 2025. 1. 1. 이후 출생한 자녀부터 적용)
김포시
보건행정과
5186-4155
출산축하금   100 100 100 100 1회 신생아의 출생일을 기준으로 180일 이전부터 신청일 현재까지 김포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한 보호자로 하며 대상자녀는 주민등록상 동일 세대원이어야 함(거주기간이 180일 미만인 경우 신생아의 출생일로부터 180일이 경과한 날까지 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하였을 경우 신청 가능), 지급대상 요건을 충족한 날로부터 6개월 이내 신청
광주시
여성보육과
760-2848
출산장려금 100 100 100 100 100 1회 출생일 혹은 입양일 기준 보호자가 180일 이전부터 광주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는 첫째 이상의 자녀(출생신고 후 1년 이내 신청)
셋째 이상 자녀 앙육비     20.9 20.9 20.9 매월지급
(출생월~12개월)
출생일 혹은 입양일 기준 보호자가 180일 이전부터 계속하여 광주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는 셋째 이상의 자녀(보육료, 양육수당과 이중지원 가능)
광명시
여성가족과
(02)2680-6164
출산축하금 70 70 70 70 70 1회 출산일 기준 1년 이상 주민등록을 두고 실제 거주하는 영아의 부 또는 모(출산일 기준 광명시 거주기간이 1년 미만일 경우 1년이 경과하는 시점에 신청 가능)
군포시
여성가족과
390-0807
출산장려금 100 300 500 700 700 1회 출산일 이전부터 6개월 이상 시에 주민등록을 둔 출산(입양)가정의 보호자(거주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 출생일로부터 6개월 경과 후 신청가능)
하남시
미사보건센터
790-6552
출산장려금 50 100 200 1,000
(4회 분할)
2,000
(4회 분할
1회 신생아의 출생일 기준 '부 또는 모'가 하남시에 6개월 이상 주민등록을 두고 관내에 출생신고를 한 경우
(단. 거주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에는 전입일로부터 6개월 경과 후 신청 가능)
오산시
가족보육과
8036-7487
출산장려금 20 50 300
(3년 분할)
600
(3년 분할)
600
(3년 분할)
1회/분할 출산일 또는 입양일을 기준으로 부 또는 모가 시에 6개월 이상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하며 출생·입양신고를 한 경우(거주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에는 전입일로부터 6개월 경과 후 신청가능)
양주시
기획예산과
8082-5066
·
복지지원과
8082-5732
출산축하금       200
(2회분할)
700
(4회분할)
분할 출생일 기준 전·후 90일 이상 양주시 주소를 두고 출생신고한 경우
(기간 미만 시 90일 경과 후 지원 가능)
장애인가정 출산비용 지원 150 (심한 장애인)
70 (심하지 않은 장애인)
150 (심한 장애인)
70 (심하지 않은 장애인)
150 (심한 장애인)
70 (심하지 않은 장애인)
150 (심한 장애인)
70 (심하지 않은 장애인)
150 (심한 장애인)
70 (심하지 않은 장애인)
1회 신생아의 출생일을 기준으로 신생아의 부모가 모두 양주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신생아의 부 또는 모가 6개월 이상 양주시에 계속 거주한 장애인 가정
이천시
건강증진과
645-3375
출산축하금 100 200 300 500 500 1회 ·출산일 기준 부 또는 모가 6개월 이전부터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하고 자녀의 출생등록 한 경우(6개월 미만 거주인 경우 출산일부터 1년 이상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한 경우)
·관내 전입계획이었으나 조기출산으로 출생일 당시 관내 주민등록을 두지 않은 경우 관내 출생신고된 날부터 주민등록을 두고 1년이상 계속 거주한 경우
다자녀가정 양육비     5 5 5 매월지급
1세(12개월)~6세(84개월)
신청일 기준 관내 주민등록을 두고 실제 거주하는 부 또는 모(세자녀와 동일 주민등록등본 기재되어야 함)
장애인가정 출산지원 100
(심한 장애인)
70
(심하지 않은 장애인)
100
(심한 장애인)
70
(심하지 않은 장애인)
100
(심한 장애인)
70
(심하지 않은 장애인)
100
(심한 장애인)
70
(심하지 않은 장애인)
100
(심한 장애인)
70
(심하지 않은 장애인)
1회 신생아 출생일 기준 신생아의 부모가 이천시 관내에 주민등록을 두고 180일 이상 거주하고 있는 장애인 가정(거주기간이 180일 미만인 경우에는 출생일로부터 180일 이상 거주한 때에 지원대상)
구리시
건강증진과
550-8668
·
장애인복지과
550-8964
·
가족복지과
550-8717
출산지원금 50 100 200 300 300 1회 출산일 기준 부 또는 모가 관내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 (거주기간 제한 없음, 출생신고 후 1년이내 신청가능)
장애인가정 출산지원 100
(심한 장애인)
70
(심하지 않은 장애인)
100
(심한 장애인)
70
(심하지 않은 장애인)
100
(심한 장애인)
70
(심하지 않은 장애인)
100
(심한 장애인)
70
(심하지 않은 장애인)
100
(심한 장애인)
70
(심하지 않은 장애인)
1회 2025년 1월 1일 이후 구리시 출산하고 출생신고 한 장애인가정
다자녀가구 행복더하기
(지역화폐 지원) 사업
- 5 가구당 연1회 부모 중 1인 및 자녀 모두가 구리시에 주민등록 된 다자녀가구
(단, 막내자녀가 18세인 당해연도까지 / 2025년 기준 2006년생까지 지원)
안성시
사회복지과
678-2234
출산장려금   100 100 100 100 1회 출생등록일 기준 180일 이전부터 계속하여 주민등록을 두고 실제 거주하는 부모(거주기간이 180일 미만인 경우에는 180일이 경과 후 지원)
포천시
가족여성과
538-3278
출산축하금 100 300 500
(2회분할)
1,000
(4회분할)
1,000
(4회분할)
1회/분할 출생일 기준 1년 이전부터 신청일까지 주민등록을 두고 계속 거주한, 영아와 주민등록상 동일세대로 되어 있는 부 또는 모(출생 후 1년까지 신청)
의왕시
건강증진과
345-3592
출산장려금 100 200 300 500 500 1회 출생일 기준 부 또는 모가 6개월 이전부터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6개월 미만인 경우 6개월 경과하였을 경우 지원)
양평군
건강증진과
770-3538
출산장려금 500
(4회분할)
500
(4회분할)
1,000
(4회분할)
2,000
(5회분할)
2,000
(5회분할)
분할 출생일 또는 입양일을 기준으로 6개월 이상 군에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하고 있는 부 또는 모를 말하며, 대상자녀와 주민등록 상 동일한 세대(출생일 현재 6개월 미만 거주 시 6개월 경과 후 지원)
여주시
가족복지과
887-2588
출산장려금 100 500
(5회분할)
1,000
(5회분할)
1,000
(5회분할)
1,000
(5회분할)
1회/분할 출생‧입양일 기준 1년 이전부터(첫째아는 180일) 계속하여 여주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출생아 또는 입양아와 함께 실제 거주하는 부 또는 모(출생신고·입양신고 한 날부터 1년 이내 신청, 거주기간 1년 미만인 경우에는 1년이 경과시(첫째아는 180일 경과시) 지원)
다자녀장려금 - -   매월 지급 0~5세 신청일 기준 1년 이전부터 계속하여 여주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5세 이하 셋째 이상 자녀와 함께 실제 시에 거주하는 다자녀 가정의 부 또는 모(거주기간 1년 미만시 1년 경과 후 지원)
동두천시
여성청소년과
860-2263
출산장려금 100 150 250 500
(2회분할)
500
(2회분할)
1회/분할 출생·입양일 기준 1년 이전부터 신청일 현재까지 동두천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계속 거주하는 부 또는 모로 대상영아와 동일세대(거주기간 1년 미만시 1년 경과 후 지원)
가평군
행복돌봄과
580-2261
출산축하금 100 400
(2회분할)
1,000
(5회분할)
2,000
(10회분할)
2,000
(10회분할)
1회/분할 신생아의 출생일 또는 입양일 기준으로 6개월 전부터 군에 주민등록을 두고 신생아 및 입양아와 실제 군에 거주하는 부 또는 모. 다만, 거주기간이 부족한 경우 해당 거주기간 조건을 충족한 날부터 지원 대상이 됨
과천시
가족아동과
02-3677-2259
·
가족아동과
02-3677-2258
출산장려금 100 150 300
(2회분할)
500
(4회분할)
500
(4회분할)
1회/분할 부 또는 모 관내 거주 180일 이상 또는 출생일로부터 180일 이상 거주(거주기간 180일 미만인 경우 출생일부터 180일 이상 거주)
다자녀 양육바우처 - 3 5 10 10 매월산정/분기별 지급 ㅇ지원대상 : 8세 이상 13세 미만의 둘째아 이상 자녀
ㅇ지급기준 : 신청일 기준 대상 자녀와 부모 또는 보호자가 과천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실제 거주하는 가정(소득기준의 제한 없이 다자녀 출생 순위별 차등지원)
연천군
사회복지과
839-2266
출산축하금 100
(2회분할)
200
(2회분할)
500
(5회분할)
1,000
(5회분할)
1,000
(5회분할)
분할 출생 후 180일 이내의 자녀와 함께 거주하는 부모 중 한 사람으로 신청일 현재 관내에 주민등록을 두고 180일 이상 거주

 


 

추가로 꼭 알아야 할 핵심 정보

  • 지자체별 출산장려금 지급 조건은 매년 달라질 수 있어요. 대부분 시군구 조례에 근거하므로 반드시 해당 지자체의 최신 공고나 공식 홈페이지를 확인하세요.
  • 일부 지역은 주민등록 요건이 있어요. 예를 들어, 6개월 이상 해당 지자체에 주소지를 두고 있어야 지급되는 경우가 많아요.
  • 현금이 아닌 지역화폐나 출산축하용품으로 지급하는 경우도 있어요. 따라서 금액만 확인할 것이 아니라 '어떻게' 지급되는지도 함께 체크하는 게 좋아요.
  • 첫째부터 주는 곳 vs 둘째부터 주는 곳 vs 다자녀에 집중하는 곳, 이처럼 전략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본인 상황에 맞춰 이사나 출산계획을 고민하는 분들은 미리 확인해보는 것이 중요해요.
  • 경기도의 경우 공식 홈페이지에 전체 시군별 장려금 현황이 자세히 안내되어 있어요. 최신 정보는 아래서 링크에서 확인하세요.

 

 

2025 출산장려금 및 양육비 지원현황 보러가기

출산·양육 지원사업

https://www.gg.go.kr/contents/contents.do?ciIdx=987110&menuId=266074

 


 

첫만남 이용권도 꼭 챙기세요

정부는 지자체별 지원 외에도 ‘첫만남 이용권’이라는 국가 공통 출산 지원제도를 운영하고 있어요.

 

항목 내용
지급 대상 2022년 1월 1일 이후 출생아
지급 금액 200만원 (2025년부터 둘째부터는 300만원으로 증액 예정)
지급 방식 국민행복카드 포인트로 지급
신청 방법 주민센터 방문 또는 정부24에서 신청
사용처 육아·교육·건강 관련 업종 등 지정처에서만 사용 가능
사용 기한 출생일로부터 1년 이내

💡 이 제도는 소득과 무관하게 전국 모든 출생아에게 지급되며, 지자체 장려금과 중복 수령이 가능해요.

 


 

자주 묻는 질문 (FAQ)

Q. 지자체 출산장려금과 첫만남 이용권은 중복 수령 가능한가요?
A. 네, 가능합니다. 첫만남 이용권은 국가 제도이고, 출산장려금은 지자체 제도이기 때문에 동시에 받을 수 있어요.

 

Q. 반드시 출생 신고한 지역에서만 장려금을 받을 수 있나요?
A. 대부분은 부모 또는 아기의 주민등록 주소 기준으로 판단하지만, 지역에 따라 요건이 다르므로 반드시 해당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확인해야 해요.

 

Q. 장려금이 지역화폐로 지급되면 사용 제한이 있나요?
A. 네, 일부 지역에서는 지역화폐로 지급되며, 해당 시군 내 가맹점에서만 사용 가능해요. 물품 또는 포인트로 지급되는 경우도 있으니 용도를 미리 확인해두는 게 좋아요.

 


 

각 지역별 혜택 꼼꼼히 살펴보고 현명하게 준비하세요

출산장려금과 출산축하금은 부모님들의 경제적 부담을 조금이나마 줄여주는 고마운 제도예요. 하지만 지자체별로 지원 내용이 매우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정보를 확인하는 게 가장 중요하답니다. 이 글을 통해 우리 동네의 혜택을 꼼꼼히 챙겨보세요. 그리고 내게 해당되는 지원이 있다면 꼭 신청하시고, 주변에도 공유해주세요!